7. 교육목회 현장론에서 사회에서의 교육목회를 쓰시오.
1) 깊은 수렁 같은 목회의 현장
기독교육은 복음에 의해 변화되는 인간과 세계, 그리고 인간과 세계가 만나는 자리(장)이다. 이 장은 인간화, 사회화, 만남, 참여, 관계의 장이다. 존 듀이는 "모든 교육은 개체적인 자아가 인류의 사회적 인식에 참여함으로 시작된다"고 했다. 따라서 우리가 처하여 있는 사회에 깊은 통찰력과 참여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사회는 복잡하고 다양한 의미와 변수와 전통을 갖고 있으며, 이상주의, 현실주의, 실용주의, 도구주의와 같은 이론들이 사회에 희망과 절망을 갖게 한다. 그러면 이런 사회 현장들에 대해서 어떤 이상과 실제를 가지고 진리의 전달을 위한 실용적인 도구를 가질 수 있겠는가? 교회가 여러 사회 현상들에 대해 무력감을 통감하면서도 사회를 위한 교육목회의 계시들을 말씀과 사회와의 연결 속에서 찾도록 해야 한다. 교회 안에서 영적인 문제에만 빠져있을 때 사회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입장에서 교회의 영적인 문제 영향을 주고 약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회가 사회에 대한 기여가 있을 때 하나님 나라건설 및 보다 좋은 사회를 이룰 수 있게 된다.
2) 왜 사회를 교육목회의 현장으로 보는가?
(1) 근거들
첫째, "세계를 사회화" 하려는 것으로, 교회가 사회에 대하여 로마교회가 사회와 문화 위에 군림했던 것 같이 세계를 교회화 하려는 것 같은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있다.
둘째, "세계 부정적인 교회"로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철저한 복종으로 경건주의 자들이 사회와 문화를 거부하고 배격했다. 따라서 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막아놓았다.
셋째, "하나님의 선교신학"이다. 하나님 중심이면서 세계와 교회를 수용하여 하나님 나라의 실현을 목표로 삼고 있다. 따라서 이 세상은 하나님의 구원의 일터로 이해함.
이 사회가 아무리 타락했고 죄악이 난무하더라도 이 세상은 하나님의 사랑의 대상이며 구원의 현장이기에 교회의 일터이며 교육목회의 현장인 것이다.
(2) 사회를 교육목회의 현장으로
오늘날 사회에 대한 교회의 관심은 대개 "복지" 문제와 관계를 이룬다. 사회를 향한 교육목회의 계획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거치게 된다. 첫째, 기초 작업단계: 적어도 6개월에서 1년 정도의 기초작업이 필요함. 둘째, 교회 수용 단계: 교회가 수용할만한 프로그램을 취사 선택하여 교회의 특성에 맞는 사회 프로그램을 수립하는 것이다. 셋째, 적용단계: 목적에 맞게 그리고 다양한 상황과 가치 이해 속에서도 적용,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접근을 위한 방법들
가. 사회복지 측면으로의 접근: 아동, 가정, 청소년, 부녀, 노인, 주민 권익문제, 사회봉사 등.
나. 생활 중심에 따른 접근: 개인과 사회생활, 가정생할, 교회생활, 직업생활, 시민생활 등.
다. 기초적인 접근: 지역사회연구, 상관관계 조사 분석, 공동체 운동.
교회가 사회를 상대로 목회적 배려를 할 때 웨스터 호프(J. H. Westerhoff Ⅲ)의 사회화의 이론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첫째, 과거 유산에 대한 의미와 미래에 대한 의미로서 의식에 대한 문제. 둘째, 공동체 안에서의 반사된 경험 그리고 사회문제를 둘러싸고 있는 문제. 셋째, 그것들을 위한 계획된 행동이다. 따라서 유산이 어떻게 미래적 소망과 삶의 의미를 갖게 하느냐는 것과 교회의 신앙 공동체의 경험이 사회화를 반사하여 문제에 대한 가치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회적 배려이며 교육목회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1) 깊은 수렁 같은 목회의 현장
기독교육은 복음에 의해 변화되는 인간과 세계, 그리고 인간과 세계가 만나는 자리(장)이다. 이 장은 인간화, 사회화, 만남, 참여, 관계의 장이다. 존 듀이는 "모든 교육은 개체적인 자아가 인류의 사회적 인식에 참여함으로 시작된다"고 했다. 따라서 우리가 처하여 있는 사회에 깊은 통찰력과 참여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사회는 복잡하고 다양한 의미와 변수와 전통을 갖고 있으며, 이상주의, 현실주의, 실용주의, 도구주의와 같은 이론들이 사회에 희망과 절망을 갖게 한다. 그러면 이런 사회 현장들에 대해서 어떤 이상과 실제를 가지고 진리의 전달을 위한 실용적인 도구를 가질 수 있겠는가? 교회가 여러 사회 현상들에 대해 무력감을 통감하면서도 사회를 위한 교육목회의 계시들을 말씀과 사회와의 연결 속에서 찾도록 해야 한다. 교회 안에서 영적인 문제에만 빠져있을 때 사회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입장에서 교회의 영적인 문제 영향을 주고 약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회가 사회에 대한 기여가 있을 때 하나님 나라건설 및 보다 좋은 사회를 이룰 수 있게 된다.
2) 왜 사회를 교육목회의 현장으로 보는가?
(1) 근거들
첫째, "세계를 사회화" 하려는 것으로, 교회가 사회에 대하여 로마교회가 사회와 문화 위에 군림했던 것 같이 세계를 교회화 하려는 것 같은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있다.
둘째, "세계 부정적인 교회"로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철저한 복종으로 경건주의 자들이 사회와 문화를 거부하고 배격했다. 따라서 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막아놓았다.
셋째, "하나님의 선교신학"이다. 하나님 중심이면서 세계와 교회를 수용하여 하나님 나라의 실현을 목표로 삼고 있다. 따라서 이 세상은 하나님의 구원의 일터로 이해함.
이 사회가 아무리 타락했고 죄악이 난무하더라도 이 세상은 하나님의 사랑의 대상이며 구원의 현장이기에 교회의 일터이며 교육목회의 현장인 것이다.
(2) 사회를 교육목회의 현장으로
오늘날 사회에 대한 교회의 관심은 대개 "복지" 문제와 관계를 이룬다. 사회를 향한 교육목회의 계획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거치게 된다. 첫째, 기초 작업단계: 적어도 6개월에서 1년 정도의 기초작업이 필요함. 둘째, 교회 수용 단계: 교회가 수용할만한 프로그램을 취사 선택하여 교회의 특성에 맞는 사회 프로그램을 수립하는 것이다. 셋째, 적용단계: 목적에 맞게 그리고 다양한 상황과 가치 이해 속에서도 적용,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접근을 위한 방법들
가. 사회복지 측면으로의 접근: 아동, 가정, 청소년, 부녀, 노인, 주민 권익문제, 사회봉사 등.
나. 생활 중심에 따른 접근: 개인과 사회생활, 가정생할, 교회생활, 직업생활, 시민생활 등.
다. 기초적인 접근: 지역사회연구, 상관관계 조사 분석, 공동체 운동.
교회가 사회를 상대로 목회적 배려를 할 때 웨스터 호프(J. H. Westerhoff Ⅲ)의 사회화의 이론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첫째, 과거 유산에 대한 의미와 미래에 대한 의미로서 의식에 대한 문제. 둘째, 공동체 안에서의 반사된 경험 그리고 사회문제를 둘러싸고 있는 문제. 셋째, 그것들을 위한 계획된 행동이다. 따라서 유산이 어떻게 미래적 소망과 삶의 의미를 갖게 하느냐는 것과 교회의 신앙 공동체의 경험이 사회화를 반사하여 문제에 대한 가치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회적 배려이며 교육목회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교회교육사
글쓴이 : 임영범 원글보기
메모 :
'일반자료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교육목회 예상문제 9번 (0) | 2007.06.14 |
---|---|
[스크랩] 교육목회 예상문제 8번 (0) | 2007.06.14 |
[스크랩] 교육목회 예상문제 6번 (0) | 2007.06.14 |
[스크랩] 교육목회 예상문제 5번 (0) | 2007.06.14 |
[스크랩] 교육목회 예상문제 4번 (0) | 2007.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