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학(missiology)
1.“선교학”의 어원:
1)불어인 missilogie에서 유래하여 영어화(missiology) 함.
2)라틴어인 missio와 그리스어인 logos의 합성어로서의 선교학(missiology)의 용어를 처음 고안(考案)하여 사용한 사람들에는 Karl Graul(1814-1864), Gustav Warneck(1834-1919), Alexander Duff(1806-1878), John H. Bavinck(1895-1964), Abraham Kyuper(1837-1920), Johannes Verkuyl(1908-2001)등이 있다.
3)“선교학”의 어원은 교회사가 시작된 이후로 헬라어 동사 “보내다”의 라틴어 번역으로부터 파생한 파생어인 “mittere, missio, missiones"로부터 유래하였다. 예수회와 카르멜 수도회가 수백명의 선교사를 파송하던 16세기에는 ”선교(missio)"라는 파생어만 사용되었다.
2.“선교학”의 역사 및 용어 사용:
1)Ramond Lull(c.1235-1315); 최초로 선교에 관하여 신학적, 언어학적으로 연구 및 발표하였으며, Muslims와 Jews를 향한 선교를 준비하였다(기독교 역사상 최초의 선교학자로 볼 수가 있다).
2)교황 Gregory XV에 의한 “헌신된 전도단”; 1622년 동인도 제도에 선교사를 파송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서 선교학을 다른 학문처럼 훈련의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3)Halle대학; 1702년 August Herman Francke에 의해 세워진 독일의 Halle대학은 선교사를 훈련할 목적으로 세워졌으며, 그 훈련을 위하여 선교학을 강의하였다.
4)독일의 경건주의 리더들(the German Pietist leaders)인 Ausgust Herman Francke(1663-1727), Philip Jacob Spener(1635-1705), Nicolaus Ludwig von Zinzendorf(1700-1760;Moravian & Herrnhut 창설자)과, 미국의 선교적 신학자이자 철학자이자 부흥사인 Jonathan Edward(1703-1758) 와, 영국이 낳은 “현대 선교의 아버지”인 William Carey(1761-1834)와, 독일의 선교신학의 기초를 놓은 세계적인 독일 신학자인 Friedrich Daniel Schleiermacher(1768-1834)등의 저서, 논문과 사역 등을 통하여 선교신학이 확산(擴散)되었다.
5)Alexander Duff; 1854년에 “전도신학”이란 용어를 사용한 최초의 개신교 선교신학 교수로 볼 수가 있음. 그는 1867년 선교학을 학문영역으로 끌어 올렸다.
6)선교적으로 유명한 삼자원리(三自原理)을 창안(創案)한 영국의 Henry Venn(1796-1873)과 미국의 Rufus Anderson(1796-1880)등에 의하여 선교의 방법론적인 면이 발전하였다.
7)Gustav Warneck에 의하여 1877년에 “선교학” 이라는 용어가 탄생(현대 선교신학의 아버지라고 일컬음을 받음)하였으며, 1897년에 Halle대학에서 선교학 교수로 활동하였다.
8)Rober Moffat(1795-1883), David Livingston(1813-1873), Hudson Taylor(1832-1905), John Nevius(1829-1893)등의 선교사들의 영향이 또한 크게 작용하였다.
9)Abraham Kyuper; 1894년에 “성장학”, “제자학”, “증가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10)1886년에 창설된 SVM(the Student Volunteer Movement)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아 개최된 1910년 영국의 Edinburgh 세계 선교대회(세계 160여 선교단체에서 1,200여 명 참석)의 영향으로 미국에서 선교학이 꽃을 피게 되었다.
3.“선교학”의 정의:
1)선교학은 하나님의 나라를 실제화 시키는 것과 맞물려 있는 전 세상에 걸친 성부, 성자, 성령의 구원활동에 관한 연구로 볼 수가 있다.
2)고전적인 정의:
- Abraham Kuyper; "선교학은 그리스도 밖에 있는 사람들을 개종으로 이끄는 하나님이 정하신 가장 유익한 방법에 대한 탐구(探究)이다“
- Olav Myklebust; "선교학은 역사와 이론의 관점으로부터 비그리스도인들 가운데서 기독교를 확장(擴張)하는 것에 관한 학문적 연구이다“
- Johannes Verkuyl; "선교학은 세상에 하나님의 나라를 가져오기 위해 일하시는 성부, 성자, 성령의 구원활동에 대한 연구이다“
- Alan Tippet; "선교학은 기독교 선교에 대해 성경적인 기원, 역사, 인류학적 원리들과 기술들, 신학적 기초에 대하여 자료들을 연구하고 기록하고 응용하는 학문이다“
3)선교학은 선교를 연구하는 학문(science of missions)으로서 선교의 신학, 선교의 역사, 부수적으로 수반(隨伴)되는 선교의 철학, 주어진 문화 상황 속에서의 전략적인 수행에 관한 공식적인 연구를 포함하는 학문으로 볼 수 있다.
4)선교학은 신학, 역사, 실천 학문에 깊게 의존하면서도 동시에 행동과학, 즉 인류학, 사회학, 심리학, 언어학의 분야에 깊게 파고들어야 한다고 볼 수가 있다.
5)선교학은 조직신학을 통해서 보여져야 하며, 하나님의 선교적 본질, 성경의 선교적 본질, 교회의 선교적 본질, 기독교 사역의 선교적 본질, 성령의 선교적 본질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볼 수가 있다.
4.선교학의 성격:
1)Ecumenical 진영의 견해:
- 광의적(廣義的)복음 즉, 영혼만이 아니라 인간을 존중한다는 의미를 포함한 복음의 개념에서 인간화(humanization)의 개념과,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의 개념을 포함한 것으로서, 자유주의적이고 해방 신학적 선교학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 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영혼의 구원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구조적 모순으로부터 사람들을 해방시키는 것으로 보았다.
2)Evangelical 진영의 견해:
- 유럽 쪽의 선교학은 조직적이며, 과학적이고 종합적인 방법론에 따라서 신학적 기초와 세계 선교의 목표를 설정하는데 치중(置重)하고 있으며, 미국 쪽의 선교학은 기능적인 면, 즉 훈련과 동기부여와 자원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등에 치중하고 있다고 볼 수가 있다.
- 미국의 Fuller 신학교와 Trinity 신학교 등의 주도적 역할로 선교학의 범위를 선교신학, 선교역사, 선교 문화인류학, 세계종교, 타문화 커뮤니케이션, 교회성장, 선교전략, 영적전쟁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 복음주의 선교학은 유럽 쪽의 방법론적인 면과, 미국 쪽의 기능적인 면이 조화가 되어서, 세계 선교적인 측면에서 성경적 관점에서의 선교학을 발전시켜야 한다.
'목회자료 > 선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Missio Dei 란 ? (0) | 2007.10.18 |
---|---|
선교란 무엇인가 -송용조박사 (0) | 2007.09.28 |
사회봉사를 통한 교회성장에 대한 연구-백암중앙교회를 중심으로 (0) | 2007.09.27 |
커뮤니케이션 선교에 대한 성서적 신학적 고찰-김용복 (0) | 2007.09.27 |
현대 선교학 총론-김성태 (0) | 2007.09.27 |